① git init : 프로젝트 폴더 안에 .git 이라는 숨겨진 폴더 생성 ② git status : 현재 파일들의 상태를 볼 수 있음. 빨간색으로 된 파일은 commit 되지 않음. commit 을 해야만 git 에 파일 저장됨. ③ git add 파일명 : 파일이 초록색으로 바뀜. 즉, commit 될 대기 상태가 됨. ④ git commit -m [설명] : commit 대기 중인 파일들을 commit 함. untracked --> tracked 로 전환. -m 옵션 사용할 경우, 그 뒤에 설명을 적을 수 있음. commit 후 git status 를 했을 때, 빨간 줄이나 초록 줄이 나오지 않는다, 즉 모두 다 저장되었다는 뜻. 이 commit 을 기준으로 코드를 수정, 추가, 삭제 가능하고 나..
① git remote : 원격 저장소를 관리함.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이름]/[폴더이름] 이렇게 origin 이라는 이름으로 원격 저장소 주소 등록함. ② git push origin A : 원격 저장소에 내 컴퓨터에서 commit 한 내용을 저장. origin 이라는 원격 저장소의 A 라는 브랜치로 로컬 저장소의 A 라는 branch 에 commit 된 내용 보냄. 만약 A 라는 브랜치가 원격 저장소에 없는 경우, 원격 저장소에 A 이라는 branch 생성됨. 만약, origin 의 다른 브랜치(ddd)로 push하고 싶을 때는 git push [원격 저장소명] [로컬 브랜치명]:[원격 브랜치(ddd)] 하면 됨. e.g ) git push ori..
① git branch 브랜치명 : 새로운 브랜치를 만듬. ② git checkout 브랜치명 : checkout 을 브랜치에 사용할 경우에는 브랜치간 전환을 의미. 새로 만든 브랜치에서 작업하려면 HEAD를 그 브랜치로 옮겨야 함. * 가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를 나타냄. ③ git rm : tracked 상태의 파일을 제거. ④ git merge 브랜치명 : master 브랜치와 지정한 브랜치의 내용을 합침. 이 때, HEAD 가 master 에 있어야 함. ⑤ git branch -d 브랜치명 : 지정된 로컬 브랜치를 삭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