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① git remote : 원격 저장소를 관리함.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이름]/[폴더이름]
이렇게 origin 이라는 이름으로 원격 저장소 주소 등록함.
② git push origin A : 원격 저장소에 내 컴퓨터에서 commit 한 내용을 저장.
origin 이라는 원격 저장소의 A 라는 브랜치로 로컬 저장소의 A 라는 branch 에
commit 된 내용 보냄. 만약 A 라는 브랜치가 원격 저장소에 없는 경우,
원격 저장소에 A 이라는 branch 생성됨.
만약, origin 의 다른 브랜치(ddd)로 push하고 싶을 때는
git push [원격 저장소명] [로컬 브랜치명]:[원격 브랜치(ddd)] 하면 됨.
e.g ) git push origin A:ddd
③ git pull origin master : origin 의 내용이 master 로 복사됨.
④ git clone : git pull 과 비슷하지만, client 상에 아무 것도 없을 때 저장소의 내용 다운 받을 수 있음.
⑤ git diff : 수정된 파일에서 달라진 부분 확인하고 싶을 때 사용.
⑴ git diff HEAD : tracked 상태의 파일에서 달라진 부분 확인 가능함.
⑵ git diff --staged : staged 된 상태, 즉 add 된 파일에서만 달라진 부분 확인 가능함.
⑥ git reset 파일명 : add 해서 staged 상태에 있는 파일을 modified 상태로 되돌림.
⑦ git checkout 파일명 : modified 상태의 파일을 다시 unmodified 상태로 되돌림.
- 와 + 를 통해 바뀐 부분이 나타남.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명령어 - 1 (0) | 2018.08.23 |
---|---|
git 명령어 - 3 (0) | 2018.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