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① git init : 프로젝트 폴더 안에 .git 이라는 숨겨진 폴더 생성
② git status : 현재 파일들의 상태를 볼 수 있음.
빨간색으로 된 파일은 commit 되지 않음. commit 을 해야만 git 에 파일 저장됨.
③ git add 파일명 : 파일이 초록색으로 바뀜. 즉, commit 될 대기 상태가 됨.
④ git commit -m [설명] : commit 대기 중인 파일들을 commit 함. untracked --> tracked 로 전환.
-m 옵션 사용할 경우, 그 뒤에 설명을 적을 수 있음.
commit 후 git status 를 했을 때, 빨간 줄이나 초록 줄이 나오지 않는다, 즉 모두 다 저장되었다는 뜻.
이 commit 을 기준으로 코드를 수정, 추가, 삭제 가능하고 나중에 이 commit 상태로 돌아올 수 있음.
⑤ git log : commit 된 내역을 볼 수 있음.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명령어 - 2 (0) | 2018.08.23 |
---|---|
git 명령어 - 3 (0) | 2018.08.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