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예전에 자바를 배울 때부터 private 멤버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를 이해하지 못했었다 왜냐면 어짜피 set메서드를 사용해서 값을 설정해준다면 그냥 public 변수에 직접 값을 설정해주는 것과 별반 차이가 없다고 생각했기 떄문이다 그런데, 최근에 수업을 통해 이유를 깨닫게 되었다 ㅎㅎㅎ 그건 바로 멤버 변수에 값을 설정해줄 때 조건을 걸어줄 수 있기 때문이었다 예를 들어, 밑의 예제 코드를 보자. public String ar 을 사용했을 때는 메인 함수에서 vo.ar = "tt"; 처럼 바로 입력을 해줄 수 있다 하지만, ar 이 무조건 세 자리 이상의 string 이 되어야 하는 상황이라고 가정하면 조건을 걸어야 되는데, public 일 때는 조건을 걸기가 쉽지 않다 반면, private 와 ..
① ps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리스트 출력 * 사용법 --> ps 옵션 ② top : 시스템 사용량 확인 * 사용법 --> top 옵션 ③ jobs : background 작업들과 상태 나타냄. * 사용법 --> jobs 옵션 ④ bg : 포그라운드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전환. 프로세스를 실행한 후 ctrl + z 를 눌러 작업을 잠시 중단시킨 후, bg 를 이용하여 작업을 백그라운드로 보냄. * 사용법 --> bg %번호 ⑤ fg :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포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전환. * 사용법 --> fg %번호 ⑥ kill : 보통 실행 중인 프로세스에 종료 신호를 보냄. * 사용법 --> kill 옵션 ⑦ killall : 여러 프로세스를 한 번에 종료할 때 사용. * kill 옵션 프로..
① id : 현재 사용자의 실제 id, 유효 사용자 id, 그룹 id 출력 * 사용법 --> id ② chmod :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부여된 권한을 수정. (1) 기호 문자열 사용 * 사용법 --> chmod 옵션1 옵션2 옵션3 파일명 u : 사용자 g : 그룹 o : 기타 a : 전부 + : 더하기 - : 빼기 = : 설정 r : 읽기 w : 쓰기 x : 실행 e.g) 사용자(u)에게 test2.txt 파일에 대한 실행 권한(x) 부여함(+). (2) 숫자 표기법 사용 * 사용법 --> chmod 숫자 숫자 숫자 파일명 r(Read), w(Write), x(eXecute) rwx 세 자리를 각각 2진수로 표시한 다음 8진수로 변경. ( '1'이 권한 주어진 것을 ..
● echo : 문자열을 그대로 화면에 출력 * 사용법 --> echo 옵션 문자열 (1) echo (옵션 X) (2) echo -e : 문자열 중에서 백슬래쉬와 조합되는 문자 인식함. - \a : 벨소리 - \b : 백스페이스 - \f : 용지 바꿈 - \n : 행 바꿈 - \r : 가장 왼쪽으로 - \t : 탭(tab) - \v : 수직 탭 - \c : 출력 후 행 바꿈 금지 (3) echo -n : 새로 개행하지 않고 출력.
① cat : 파일 내용을 간단하게 출력하거나 두 개 이상의 파일을 연결해서 출력함. 리다이렉션 기호와 함께 사용하여 파일을 생성하거나 병합할 때도 사용됨. (1) 파일 출력할 때 * 사용법 --> cat file1 cat file1 file2 (2) 파일 병합할 때 * 사용법 --> cat file1 file2 > file3 ② sort : 텍스트로 구성된 파일을 행 단위로 정렬할 때 사용함. (1) 오름차순 * 사용법 --> sort 파일명 2) 내림차순 * 사용법 --> sort -r 파일명 ③ uniq : 중복된 행이 연속으로 있을 때, 중복 없이 하나의 행으로 만들어 줌. 주로 sort 와 함께 사용. * 사용법 --> cat 파일명 | sort | uniq ④ grep : 파일 내에서 지정한 ..
① type : 지정된 명령어가 shell에 내장된 명령어인지, 외부 명령어인지, 앨리어스 명령어인지 확인 * 사용법 --> type 파일명 ② which : 특정 명령어의 위치를 찾아줌 ③ help : bash 내장 명령어에 대한 간단한 도움말 제공함 ④ man : 각종 명령어, 프로그램의 사용법을 확인 * 사용법 --> man 이름명 ⑤ apropos : 해당 키워드가 있는 메뉴얼 페이지 찾아줌. * 사용법 --> apropos 키워드 ⑥ info : man 처럼 특정한 명령어에 대한 메뉴얼 페이지 보여줌. man 에 비해 간략함. * 사용법 --> info 명령어명 ⑦ whatis : man page의 이름과 개요를 보여줌. * 사용법 --> whatis 키워드 ⑧ alias : 자주 사용하는 명령..
① cp : Copy files and directories 파일이나 디렉토리 복사함. * 사용법 --> cp 원본 사본 ② mv : Move/rename files and directories 파일 이동 가능함. 같은 폴더에서 파일, 디렉토리 이동하는 경우 이름 변경됨. * 사용법 --> mv 파일명1 파일명2 e.g) 같은 폴더에서 mv 사용해서 이름 변경된 경우 e.g) 다른 폴더에서 mv 사용해서 파일 이동된 경우 ③ mkdir : Create directories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듬. * 사용법 --> mkdir 디렉토리명 ④ rm : Remove files and directories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제거함. * 사용법 --> rm 파일명(디렉토리명) e.g) 파일을 삭제하고 싶은 경우..
① pwd : Print name of current working directory, 현재 어떤 디렉토리에 있는지 절대 경로로 나타냄. ② cd : Change directory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위치를 변경함. ③ ls : List directory contents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내용(디렉토리, 파일 등)을 나타냄. ⑴ ls ⑵ ls -al : 디렉토리에 있는 내용을 숨김 파일까지 모두, 그리고 자세하게 나타냄. ④ file : Determine file type 지정된 파일의 종류(타입)을 확인함. * 사용법 --> file 파일명 ⑤ less : View file contents 파일을 읽어 화면에 출력함. * 사용법 --> less 파일명
① date : 현재 날짜와 시간을 알려줌 ② cal : 현재 날짜를 달력 상으로 보여줌 ③ df : disk free, 리눅스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 확인 가능함 ⑴ df : 파일시스템, 디스크 크기, 사용량, 여유공간, 사용률, 마운트지점 순으로 나타남. ⑵ df -h : 디스크 공간을 킬로(K), 메가(M), 기가(G), 테라(T) 등의 단위로 가독성이 좋게 나타냄. ④ free : 리눅스 시스템의 메모리 사용량 확인 가능 -m, -g 등의 옵션을 사용하면 MB, GB 단위로 나타남 ⑤ exit : 프로세스를 종료함 ※ 메모리와 디스크의 차이 ※ --> 메모리는 컴퓨터의 CPU가 처리하는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 하드디스크에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합니다 ..